본문 바로가기
타입 캐스트 연산자 static_cast, const_cast, reinterpret_cast, dynamic_cast https://blockdmask.tistory.com/242 2022. 10. 28.
C++ 배열 2 주소값 배열은 가은 데이터 타입의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자료구조이다. 아울러, 배열은 연속된 메모리 공간(스텍)을 할당바는다. 배열을 선언하는 구성요소 : 배열의 데이터 타입, 배열명(주소), 배열의 크기([0을 초과하는 값]) char char_name[10] ={ "ABCDEFGHI" }; short short_name[10] = {0,1,2,3,4,5,6,7,8,9}; //20바이트 cout 2022. 10. 28.
C++ 배열 1 데이터 저장의 발전과정 변수 > 배열 > 구조체 > 클래스 배열은 같은 종류의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되는 자료구조이다. 배열의 크기를 const 지시자로 만들어진 기호 상수로 지칭하면 배열의 크기를 변경하기가 쉬워진다. 즉 다른 부분의 변경없이 기호 상수의 정의만 바꾸면된다. const int STUDENTS= 10; int scores[STUDENTS]; 다음과 같이 #define을 사용해도 된다. #define STUDENTS 10 int scores[STUDENTS]; ============================================================================ 정적배열 - 초기화 int scores[] = {100,200,300}; int s.. 2022. 10. 28.
반복문(do-while,while,for,더블루프) do- while do { 문장 } while (조건식); break int main(){ for(int i =1; i < 10; i++) { cout 1 2 3 4 continue 현재 수행하고 있는 반복 과정의 나머지를 건너뛰고 다음 반복과정을 강제적으로 시작하게 만듦. int main(){ int i =0; do { i++; cout 2022. 10. 28.
cin.fail / cin.clear / cin.ignore cin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을 경우 바로 변수에 값이 저장되는게 아닌 입력한 문자가 입력버퍼에 저장되고 버퍼에 저장된 값을 읽어들여 변수에 저장한다. 그리고 숫자를 입력받을 경우에는 바로 변수에 저장하기 때문에 버퍼가 필요하지 않다. 그런데 cin을 통해서 숫자를 입력받아 정수형 변수에 입력하는 도중에 문자가 입력되면 이 문자는 입력버퍼에 저장되고 cin을 통해 이 입력버퍼에 있는 값을 읽어들여 정수형 변수에 저장하려고 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저장이 되지 않고 계속 failbit를 설정하며 버퍼에도 값이 계속 남아있게 되는 것입니다. clear() 함수를 통해서 에러비트를 초기화해주면 더이상 cin.fail() 함수의 반환값이 참이 아니게 된다. 하지만 입력버퍼에 아직도 문자가 남아있기 때문에 그 값을 .. 2022. 10. 28.
switch switch (동서남북/ 월화수목../1월2월,,,) :정수값 한정 자바 : int이하의 정수값, 문자열 switch - case - break - default(옵션) 2022. 10. 28.
MERN M - mongoDB (Database Solution) 더보기 A NoSQL Database which stares "Documents" in "Colllections" (instead of "Records" in "Tables" as in SQL) E - Node.js Framework 더보기 A Node Framework which simplifies writing Server-side Code and Logic. R - Browser-side JavaScript Library 더보기 A Client-Side (Browser) Library which allows you to build highly reactive user interfaces. * Render UI whith Dynamic Data.. 2022. 10. 28.
Node.js란 (feat. React와 연관성) 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 된 JavaScript 런타임입니다. 즉, 노드를 통해 다양한 자바스크립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서버를 실행하는 데 제일 많이 사용된다. Node.js는 JavaScript를 서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 Node.js는 V8이라는 JavaScript 엔진 위에서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 런타임(환경)이다. Node.js는 서버사이트 스크립트 언어가 아니다. 프로그램(환경)이다. Node.js는 웹서버와 같이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Node.js는 확장성이 있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특히 서버사이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되는 언어.. 2022. 10. 28.
HTTP 동작 및 원리 (Feat. 인터넷) https://gmlwjd9405.github.io/2019/04/17/what-is-http-protocol.html [Network] HTTP의 동작 및 HTTP Message 형식 - Heee's Development Blog Step by step goes a long way. gmlwjd9405.github.io 인터넷의 작동원리 https://development-crow.tistory.com/3 [IT 기술] 인터넷의 작동원리 인터넷의 작동원리 안녕하세요. 개발자 개발 까마귀입니다. 오늘 알려드릴거는 인터넷의 작동원리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인터넷이란? 여러분들이 편하게 쓰는 인터넷은 사실 오랜 역 development-crow.tistory.com 2022. 10. 27.
도커) mysql 컨테이너 생성 1. Docker 우선 도커가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도커 설치는 기존 포스팅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 docker -v Docker version 20.10.10, build b485636 도커 버전을 확인합니다. 도커가 정상 설치되었으므로 본격적으로 Mysql 설치를 진행해보겠습니다. 2. Docker 이미지 가져오기 도커로 Mysql을 실행하려면 우선 Docker 저장소에서 Mysql 이미지를 가져와야 합니다. docker pull mysql 명령어를 통해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docker pull mysql: 다음과 특정 버전을 가져오는것 또한 가능합니다. $ docker pull mysql Using default tag: latest latest: Pulling from libr.. 2022.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