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MSA 인증인가 전략2

by Wanado 2025. 3. 20.
728x90

유저 Passport

토스 내부 서비스들도 기존에는 모든 서비스에서 유저 정보가 필요할 때 유저 API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유저 정보를 가져오고 있었는데요 이는 트랜잭션 내에 불필요한 중복 요청을 유발하고 서버 리소스의 낭비로 이어졌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저희는 Netflix의 Passport 구조를 참고하였습니다.

Netflix는 유저 인증 시에 Passport 라는 id 토큰을 트랜잭션 내로 전파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저희는 Netflix의 Passport 구조를 저희 팀에 맞게 변경하여 토스 Passport를 구현했습니다.

Passport는 사용자 기기 정보와 유저 정보를 담은 하나의 토큰인데요. 앱에서 유저 식별키와 함께 API를 요청하게 되면 Gateway에서 이 키를 토대로 인증 서버에 Passport를 요청합니다. Passport에는 디바이스 정보와 유저 정보가 담겨 있으며 Gateway는 이를 serialize 하여 서비스에 전파합니다. 유저 정보가 필요한 서비스는 유저 정보 호출 없이 Passport 정보를 통하여 유저에 대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트랜잭션 내에서 마치 여권처럼 사용자 정보를 들고 다니게 됩니다.

https://toss.tech/article/slash23-server

728x90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A 인증인가 전략1  (0) 2025.03.18
Swagger 통합  (0) 2025.03.17
멀티모듈  (0) 2025.03.13
Error와 예외처리  (0) 2025.03.12
spring cloud - Gateway  (0)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