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

디자인 패턴- 01. 싱글톤 패턴

by Wanado 2022. 8. 18.
728x90

프레임워크

일정한 형태의 틀, 부품을 가지고 다양한 형태의 결과물을 만드는 것.

폴더명, 파일명 등에 대한 규칙이 있고 라이브러리에 비해 좀 더 엄격하다.

 

라이브러리

도구의 모음.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요소와 그것을 사용하기 위한 규약을 지키면

그 밖에 나머지는 어떤 라이브러리를 가져다가 써도 어떤 패키지를 가져다가 써도 상관이 없다.

예를들면

Python에서 Datetime, Pandas, Beautifulsoup ..., 

Java에서는 Guava, Apache common library, ... 

C++ 에서는 STL 등등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쉽게 하기 위한 도구들이 많이 있습니다.

 


디자인 패턴이란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객체 간의 상호 관계 등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하나의 '규약' 형태로 만들어 놓은 것을 의미.

 

1. 싱글톤 패턴

하나의 클래스에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만 가지는 패턴. 보통 데이터베이스 연결 모둘에 많이 사용함.

해당 인스턴스를 다른 모듈들이 공유하며 사용하기 때문에 인슽너스를 생성할 때 드느 비용이 줄어들지만

 

단점)

의존성이 높아진다.

TDD(Test Driven Development)를 할 때 걸림돌이 된다. TDD를 할 때 단위 테스트를 주로 하는데, 단위 테스트는 테스트가 서로 독립적이어야 하며 테스틀르 어떤 순서로든 실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싱글톤 패턴은 ㅣ리 생성된 하나의 인스턴스를 기반으로 구현하는 패턴이므로 각 테스트마다 '독립적인' 인스턴스를 만들기가 어렵다. 

 

>> 의존성 주입을 통해 모듈간의 결합을 느슨하게 만들어 해결할 수 있다. 

메인모듈이 직접 다른 하위 모듈에 대한 의존성을 주기보다는 중간에 의존성 주입자가 이 부분을 가로채 메인 모듈이 '간접'적으로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메인 모듈은 하위 모둘에 대한 의존성이 떨어진다. (디커플링이 됨)

 

의존성 주입

장점) 모듈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 테스팅하기 쉽고 마이그레이션하기도 수월.

단점) 모듈들이 더욱더 분리되어 클래스 수가 늘어나 복잡성이 증가될 수 있고 약간의 런타임 페널티가 생기기도 함.

 

의존성 주입 원칙

상위 모듈은 하위 모듈에서 어떠한 것도 가져오지 않아야한다. 또한, 둘 다 추상화에 의존해야 하며, 이때 추상화는 세부 사항에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

 

 

728x90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I와 SDK  (1) 2022.08.29
디자인 패턴- 프록시 패턴  (0) 2022.08.19
디자인패턴- 옵저버 패턴  (0) 2022.08.19
디자인 패턴- 전략 패턴  (0) 2022.08.19
디자인 패턴- 02. 팩토리 패턴  (0) 2022.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