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파일 배포할 때 바이너리 형식이란?]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83heejung&logNo=50037089559
바이너리 형식과 BIN 형식이란 말은 같은 뜻이다.
BIN이란 BINARY의 약어로 이진코드라는 뜻입니다.
바이너리 형식의 파일이란, 텍스트 형식의 파일이 아닌 모든 형식
즉, 실행파일이나 혹은 이미지 파일 등의 파일로 보면 된다.
<FLEX 개발자들 주의!!>
cvs 이용할 때도 실행파일 같은 swf 혹은 exe를 (ASCII-KKV)로 한 상태로 EXPORT하거나 배포하게되면
그 파일은 실행할 수 없게 됩니다.
FLEX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cache798&logNo=130005364322
플렉스(Flex) 개념잡기
플렉스(Flex) 개념잡기 출처: Adobe Flex, http://www.adobe.com/kr/products/flex/ 편집: 몽키몽키 (ca...
blog.naver.com
Flex의 구성요소는 모두 국제 표준에 기반한 것으로 ActionScript(Javascript), MXML(XML), DOM3 등의 표준 위에 Adobe의 API와 클래스 라이브러리가 추가된 형태이다.
Script Language vs Compile Language
https://well-made-codestory.tistory.com/m/30
Script Language
스크립트(Script) 언어란 소스 코드를 컴파일(Compile)하지 않고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말한다.
예를 들어 C나 비주얼베이직, 자바같은 경우는 작성한 소스를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 코드로 변경해야 사용자가 실행할수 있는 실행 파일이 얻어지는데 비해 스크립트 언어는 별도의 컴파일 없이 내장된 번역기에 의해 번역 되므로 바로 실행 할 수 있다.
스크립트 언어는 소스를 작성한 후 컴파일 과정 없이 바로 실행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번역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다소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C언어나 Java와 같은 비스크립트 언어의 경우 실행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는 반면 컴파일 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개발 과정이 조금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면 스크립트 언어는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하게 될까?
1. 시스템에 사용
유닉스의 쉘(Shell) 스크립트 , 윈도우의 배치(Batch) 스크립트처럼 일괄 처리 작업에 사용.
2. 웹 어플리케이션에 사용
일반적으로 스크립트 언어는 빠른 성능이 필요하지 않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데 이용되어 왔으며, 크게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server-side-script) 와 클라이언트 사이드 스크립트(client-side-script)로 나눌수 있다.
-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server-side-script) : 해당 소스의 실행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웹서버를 거쳐야 하는 스크립트를 말하며, ASP, PHP, JSP, PYTHON, PERL, RUBY 등이 있다.
-클라이언트 사이드 스크립트(client-side-script) : 내장된 번역기(인터넷 익스플로러등)에 의해 실행되는 스크립트로 서버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쪽(웹서버에 접속한PC)에서 처리되는 스크립트를 말하며, JavaScript, VBScript, JScript등이 있다.
출처: https://jokergt.tistory.com/81 [Gun's Knowledge Base:티스토리]
컴파일 언어(Compile Language)의 정의
컴파일 언어란 소스코드(Source Code)를 컴파일 하여 목적코드(Object Code or Executable File)로 옮기고, 목적코드(기계어)를 읽어 실행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언어이다.
패치(Patch)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생겼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해 주는 프로그램 혹은 데이터를 가르킴.
업데이트와 패치는 자주 혼용되어 쓰이나, 사실 패치는 업데이트의 하위 개념.
패치는 소프트웨어의 결함 수정을 가리키며, 업데이트는 소프트웨어의 결함수정 및 기능보완까지 포함.
모든 프로그램은 제작되고 배포된 후에도 사용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문제점이 발견되고 수정됩니다.
대부분의 작은 오류들은 버전 업데이트나 정기 업데이트 과정에서 모아서 보완합니다.
하지만 간혹 사용에 피해를 주거나 기능상 오류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보안상의 문제들은 빠르게 수정되어야하며,
제작사 또는 제작자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임시로 내놓거나 빠른 해결방법을 내놓는 것을 패치(Patch)라고 합니다.
https://www.redhat.com/ko/topics/management/what-patch-management-and-automation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치 프로그램 만들기 (feat. Python) (0) | 2023.01.27 |
---|---|
윈도우 포맷 후 리눅스 설치 (0) | 2022.11.15 |
OpenStack) DevStack 설치 중 오류 (0) | 2022.11.15 |
우분투 root 비밀번호 초기화 (0) | 2022.11.13 |
(API) Path parameter VS Query parameter (0) | 2022.10.24 |